본문 바로가기
배당,재무정보

코리아센터 '21년 주가전망, 배당금, 배당일 (20년간 재무제표,배당정보,시가총액 반영)

by Financial, investment 2021. 1. 12.
반응형

다른 회사 배당금정보 및 20년간 재무제표, 시가총액 정보

삼성계열 :  삼성전자  삼성SDI  삼성생명  삼성중공업  삼성전기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카드 
현대계열 :  현대차  현대모비스  기아차  현대제철 현대에너지솔루션 현대홈쇼핑 현대위아    현대백화점  현대미포조선  
SK계열 :   SK SK하이닉스 SK텔레콤 SK이노베이션 SK바이오팜 SKC SK네트웍스  
LG계열 :   LG LG화학 LG전자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그 외 :  셀트리온 네이버 아모레퍼시픽 에스오일 CJ제일제당 CJ CJ씨푸드 GS건설 이마트
보험사 :  DB손해보험 메리츠화재 삼성화재 현대해상  
금융사 :   하나금융지주 KB금융 신한금융지주 JB금융지주 메리츠금융지주 제주은행 기업은행  
증권사 :   부국증권 KTB투자증권 상상인증권 유화증권 한양증권 키움증권 유진투자증권 교보증권 SK증권

 

코리아센터 '21년 주가전망, 배당금, 배당일 (20년간 재무제표,배당정보,시가총액 반영)


코리아센터배당금 코리아센터주가 코리아센터배당금지급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정보는코리아센터의 20년간 배당정보 코리아센터 20년간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정보 코리아센터의 20년간 시가총액정보입니다.


코리아센터2019년 배당금 미지급 코리아센터2018년 배당금 미지급 코리아센터2017년 배당금 미지급 코리아센터2016년 배당금 미지급 코리아센터2015년 배당금 미지급


   








 

 

 

 

 

 

 

 

<!--td {border: 1px solid #ccc;}br {mso-data-placement:same-cell;}-->

코리아센터사업연도 코리아센터배당기준일 코리아센터배당지급일 코리아센터주당배당금
2019 2019-12-31 -
2018 -
2017 -
2016 -
2015 -
-
-
-

 (1) 코리아센터 20년간 배당금

 배당금은 회사가 회사 주식 소유자에게 지급하는 금액입니다. 이는 기업이 수익을 투자자에게 다시 분배하는 방법이며 투자자가 주식에 투자하여 수익을 얻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주가전망에도 영향을 미치는 지표이구요. 그러나 모든 주식이 배당금을 지급하는 것은 아닙니다. 배당금 투자에 관심이 있다면 배당 주식을 구체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당금은 안정적이고 성장하는 회사에서 지불 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우량한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금흐름이 잘 발생하는 회사들입니다. 관련한 정보는 하단 (2) 20년간 재무데이터에서 참고하셔서 결정하시면 됩니다.

 배당금 정보를 살펴보는 이유?
① 주식의 배당금은 저평가 또는 과대 평가에 대한 일종의 신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② 여러 연구에 따르면 배당금을 지급하는 기업의 "수익의 질"이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는 기업보다 높다는 것을 지속적으로 입증했습니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당금을 지급하는 회사가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는 회사를 능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③ 경제 위기로 인해 주식시장이 하락할 때에 배당금은 주가의 하방을 지지하여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는 회사보다 하락이 적은 경향이 있습니다. 약세장이 오려고 할 때 배당주위주로 방어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이유입니다.
④ 배당금은 꽤 쏠쏠하게 들어와서 재투자를위한 수입을 제공합니다. 이 배당금으로 포트폴리오를 재구축할 수 있습니다.


(2) 코리아센터 20년간 시가총액,재무제표(매출,영업이익,당기순이익,영업이익률,순이익률,자산,부채,자본,ROE,부채비율)

 ① 매출 : 정상적인 영업 활동에서 회사가 받는 돈입니다.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고객에게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매출액은 회사가 실제적으로 판매한 금액의 규모를 나타내서 보통 시장점유율을 나타낼 때 매출액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쉽게 고객에게 받은 모든 대가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② 영업 이익 : 회사가 일상적인 또는 핵심적인 영업활동에서 벌어 들인 이익입니다. 매출에서 매출원가, 판매 및 관리 비용을 차감하여 계산됩니다. 투자자는 기업의 활동에서 발생하는 이익을 보여주기 때문에 회사의 손익 계산서에서 영업 이익을 찾습니다. 영업이익은 일반적으로 투자 매각이나 파생상품 손익과 같은 일회성 이벤트의 수입보다 해마다 더 안정적입니다. 기업은 일회성 사건으로 인해 한해 동안 급격히 이익이 늘어날 순 있어도 영업이익이 증가하는 건 쉽지 않습니다.

 ③ 당기 순이익 : 영업이익에서 영업외수익을 더하고 영업외비용을 뺀 후 영업 수익에서 남는 이익입니다. 1회성 손실이나 이익(부동산 매각이익 등)이 포함되서 안정적이지 않을 수 는 있지만, 기업이 모든 활동에서 최종으로 얻게된 이익을 나타냅니다. 배당금을 지급할 때의 재원이 됩니다.

 ④시가총액은 기업의 모든 지분의 가치를 의미하며, 주가에 주식수를 곱한 금액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이전글로 대체합니다.
[주식 기초#1] 시가총액 뜻, 정확한 의미 와 해석(https://easy-start1.tistory.com/14


  일반적으로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코리아센터 배당금에 영향을 미칩니다. 코리아센터 주가는 코리아센터의 배당수익률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코리아센터 배당금이 일정할 때코리아센터의 주가가 낮아진다면코리아센터 배당수익률은 자연스럽게 오를 것 입니다. 예를 들어,코리아센터 배당금이 100이고,코리아센터 주가가 1,000이라고 하면 배당수익률은 10%이지만,코리아센터 주가가 500원으로 하락할 경우코리아센터 배당수익률은 자연스레 20%로 상승합니다.





 

 

 

 





 

<!--td {border: 1px solid #ccc;}br {mso-data-placement:same-cell;}-->

사업연도 코리아센터자산 코리아센터부채 코리아센터자본 코리아센터부채비율 코리아센터ROE

코리아센터시가총액(연평균)

2000 억원 억원 억원 #DIV/0! #DIV/0! 억원
2001 4억원 억원 3억원 0% 33% 억원
2002 18억원 9억원 9억원 100% 55% 억원
2003 29억원 6억원 22억원 27% 59% 억원
2004 51억원 13억원 38억원 34% 36% 억원
2005 104억원 45억원 58억원 77% 36% 억원
2006 156억원 82억원 74억원 110% 21% 억원
2007 201억원 97억원 103억원 94% 27% 억원
2008 261억원 101억원 160억원 63% 27% 억원
2009 301억원 142억원 159억원 89% 17% 억원
2010 415억원 222억원 192억원 115% 15% 억원
2011 542억원 269억원 272억원 98% 28% 억원
2012 579억원 285억원 293억원 97% 10% 억원
2013 620억원 293억원 326억원 89% 11% 억원
2014 662억원 310억원 351억원 88% 7% 억원
2015 673억원 286억원 386억원 74% 8% 억원
2016 774억원 336억원 437억원 76% 10% 억원
2017 916억원 467억원 448억원 104% 7% 억원
2018 2,277억원 988억원 1,288억원 76% 1% 억원
2019 2,896억원 1,023억원 1,872억원 54% 2% 4,544억원
2020 3Q 2,936억원 984억원 1,952억원 50% 0% 3,755억원

 

<!--td {border: 1px solid #ccc;}br {mso-data-placement:same-cell;}-->

사업연도 코리아센터매출액 코리아센터영업이익 코리아센터순이익 코리아센터영업이익률 코리아센터순이익률
2000 억원 억원 억원 #DIV/0! #DIV/0!
2001 14억원 1억원 1억원 10% 9%
2002 38억원 7억원 5억원 19% 14%
2003 58억원 16억원 13억원 28% 22%
2004 42억원 16억원 14억원 39% 33%
2005 56억원 17억원 21억원 31% 38%
2006 83억원 19억원 16억원 23% 19%
2007 117억원 36억원 28억원 30% 24%
2008 150억원 55억원 44억원 36% 29%
2009 176억원 38억원 28억원 21% 16%
2010 192억원 27억원 30억원 14% 15%
2011 266억원 70억원 78억원 26% 29%
2012 286억원 42억원 32억원 14% 11%
2013 299억원 48억원 39억원 16% 13%
2014 319억원 32억원 26억원 10% 8%
2015 346억원 26억원 33억원 7% 9%
2016 373억원 46억원 48억원 12% 12%
2017 453억원 54억원 34억원 11% 7%
2018 557억원 64억원 13억원 11% 2%
2019 606억원 77억원 40억원 12% 6%
2020 1Q 168억원 8억원 12억원 5% 7%
2020 2Q 188억원 22억원 15억원 12% 8%
2020 3Q 201억원 13억원 16억원 6% 8%

 

 코리아센터 2014년 매출 319억원, 영업이익 32억원, 순이익 26억원(영업이익률10%, 순이익률8%) 
 코리아센터 2015년 매출 346억원, 영업이익 26억원, 순이익 33억원(영업이익률7%, 순이익률9%) 
 코리아센터 2016년 매출 373억원, 영업이익 46억원, 순이익 48억원(영업이익률12%, 순이익률12%) 
 코리아센터 2017년 매출 453억원, 영업이익 54억원, 순이익 34억원(영업이익률11%, 순이익률7%) 
 코리아센터 2018년 매출 557억원, 영업이익 64억원, 순이익 13억원(영업이익률11%, 순이익률2%) 
 코리아센터 2019년 매출 606억원, 영업이익 77억원, 순이익 40억원(영업이익률12%, 순이익률6%) 
 코리아센터 2014년 자산 662억원, 부채 310억원, 자본 351억원(코리아센터 2014년 부채비율 88%, ROE 7%) 
 코리아센터 2015년 자산 673억원, 부채 286억원, 자본 386억원(코리아센터 2015년 부채비율 74%, ROE 8%) 
 코리아센터 2016년 자산 774억원, 부채 336억원, 자본 437억원(코리아센터 2016년 부채비율 76%, ROE 10%) 
 코리아센터 2017년 자산 916억원, 부채 467억원, 자본 448억원(코리아센터 2017년 부채비율 104%, ROE 7%) 
 코리아센터 2018년 자산 2277억원, 부채 988억원, 자본 1288억원(코리아센터 2018년 부채비율 76%, ROE 1%) 
 코리아센터 2019년 자산 2896억원, 부채 1023억원, 자본 1872억원(코리아센터 2019년 부채비율 54%, ROE 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