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당,재무정보

코아스 '21년 주가전망, 배당금, 배당일 (20년간 재무제표,배당정보,시가총액 반영)

by Financial, investment 2020. 11. 27.
반응형

른 회사 배당금정보 및 20년간 재무제표, 시가총액 정보
미국주식: 애플 테슬라 넷플릭스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페이스북 인텔 펩시콜라
코스피 전체리스트 링크

삼성계열 :  삼성전자  삼성SDI  삼성생명  삼성중공업  삼성전기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카드 
현대계열 :  현대차  현대모비스  기아차  현대제철 현대에너지솔루션 현대홈쇼핑 현대위아    현대백화점  현대미포조선  
SK계열 :   SK SK하이닉스 SK텔레콤 SK이노베이션 SK바이오팜 SKC SK네트웍스  
LG계열 :   LG LG화학 LG전자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그 외 :  셀트리온 네이버 아모레퍼시픽 에스오일 CJ제일제당 CJ CJ씨푸드 GS건설 이마트
보험사 :  DB손해보험 메리츠화재 삼성화재 현대해상  
금융사 :   하나금융지주 KB금융 신한금융지주 JB금융지주 메리츠금융지주 제주은행 기업은행  
증권사 :   부국증권 KTB투자증권 상상인증권 유화증권 한양증권 키움증권 유진투자증권 교보증권 SK증권

코아스 '21년 주가전망, 배당금, 배당일 (20년간 재무제표,배당정보,시가총액 반영)


코아스배당금 코아스주가 코아스배당금지급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정보는코아스의 20년간 배당정보 코아스 20년간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정보 코아스의 20년간 시가총액정보입니다.


코아스 2019년 배당금 미지급 코아스 2018년 배당금 미지급 코아스 2016년 배당금 미지급 코아스 2015년 배당금 미지급 코아스 2014년 배당금 미지급

코아스사업연도 코아스배당기준일 코아스배당지급일 코아스주당배당금
2019 2019-12-31 -
2018 2018-12-31 -
2016 2016-12-31 -
2015 2015-12-31 -
2014 2014-12-31 -
2013 2013-12-31 -
2012 2012-12-31 -
2010 2010-12-31 2011-04-08 -
2009 2009-12-31 2010-04-23 -
2008 2008-12-31 2009-04-24 -
2007 2007-12-31 2008-04-25 5
2006 2006-12-31 2007-04-20 50
2005 2005-12-31 2006-04-12 300

(1) 코아스 20년간 배당금

 배당금은 회사가 회사 주식 소유자에게 지급하는 금액입니다. 이는 기업이 수익을 투자자에게 다시 분배하는 방법이며 투자자가 주식에 투자하여 수익을 얻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주가전망에도 영향을 미치는 지표이구요. 그러나 모든 주식이 배당금을 지급하는 것은 아닙니다. 배당금 투자에 관심이 있다면 배당 주식을 구체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당금은 안정적이고 성장하는 회사에서 지불 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우량한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금흐름이 잘 발생하는 회사들입니다. 관련한 정보는 하단 (2) 20년간 재무데이터에서 참고하셔서 결정하시면 됩니다.

 배당금 정보를 살펴보는 이유?
① 주식의 배당금은 저평가 또는 과대 평가에 대한 일종의 신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② 여러 연구에 따르면 배당금을 지급하는 기업의 "수익의 질"이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는 기업보다 높다는 것을 지속적으로 입증했습니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당금을 지급하는 회사가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는 회사를 능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③ 경제 위기로 인해 주식시장이 하락할 때에 배당금은 주가의 하방을 지지하여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는 회사보다 하락이 적은 경향이 있습니다. 약세장이 오려고 할 때 배당주위주로 방어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이유입니다.
④ 배당금은 꽤 쏠쏠하게 들어와서 재투자를위한 수입을 제공합니다. 이 배당금으로 포트폴리오를 재구축할 수 있습니다.


(2) 코아스 20년간 시가총액,재무제표(매출,영업이익,당기순이익,영업이익률,순이익률,자산,부채,자본,ROE,부채비율)

 ① 매출 : 정상적인 영업 활동에서 회사가 받는 돈입니다.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고객에게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매출액은 회사가 실제적으로 판매한 금액의 규모를 나타내서 보통 시장점유율을 나타낼 때 매출액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쉽게 고객에게 받은 모든 대가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② 영업 이익 : 회사가 일상적인 또는 핵심적인 영업활동에서 벌어 들인 이익입니다. 매출에서 매출원가, 판매 및 관리 비용을 차감하여 계산됩니다. 투자자는 기업의 활동에서 발생하는 이익을 보여주기 때문에 회사의 손익 계산서에서 영업 이익을 찾습니다. 영업이익은 일반적으로 투자 매각이나 파생상품 손익과 같은 일회성 이벤트의 수입보다 해마다 더 안정적입니다. 기업은 일회성 사건으로 인해 한해 동안 급격히 이익이 늘어날 순 있어도 영업이익이 증가하는 건 쉽지 않습니다.

 ③ 당기 순이익 : 영업이익에서 영업외수익을 더하고 영업외비용을 뺀 후 영업 수익에서 남는 이익입니다. 1회성 손실이나 이익(부동산 매각이익 등)이 포함되서 안정적이지 않을 수 는 있지만, 기업이 모든 활동에서 최종으로 얻게된 이익을 나타냅니다. 배당금을 지급할 때의 재원이 됩니다.

 ④시가총액은 기업의 모든 지분의 가치를 의미하며, 주가에 주식수를 곱한 금액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이전글로 대체합니다.
[주식 기초#1] 시가총액 뜻, 정확한 의미 와 해석(https://easy-start1.tistory.com/14


  일반적으로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코아스 배당금에 영향을 미칩니다. 코아스 주가는 코아스의 배당수익률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코아스 배당금이 일정할 때코아스의 주가가 낮아진다면코아스 배당수익률은 자연스럽게 오를 것 입니다. 예를 들어,코아스 배당금이 100이고,코아스 주가가 1,000이라고 하면 배당수익률은 10%이지만,코아스 주가가 500원으로 하락할 경우코아스 배당수익률은 자연스레 20%로 상승합니다.

 

 

사업연도 코아스매출액 코아스영업이익 코아스순이익 코아스영업이익률 코아스순이익률
2000 632억원 22억원 14억원 3% 2%
2001 408억원 16억원 9억원 4% 2%
2002 549억원 38억원 25억원 6% 4%
2003 594억원 42억원 30억원 7% 5%
2004 601억원 49억원 28억원 8% 4%
2005 783억원 67억원 51억원 8% 6%
2006 768억원 46억원 36억원 6% 4%
2007 899억원 10억원 9억원 1% 1%
2008 782억원 -60억원 -76억원 -7% -9%
2009 688억원 19억원 11억원 2% 1%
2010 803억원 45억원 25억원 5% 3%
2011 856억원 51억원 12억원 6% 1%
2012 766억원 26억원 3억원 3% 0%
2013 862억원 2억원 -81억원 0% -9%
2014 965억원 20억원 5억원 2% 0%
2015 954억원 -76억원 -106억원 -8% -11%
2016 956억원 -34억원 -76억원 -3% -7%
2017 1,119억원 2억원 -9억원 0% 0%
2018 1,054억원 8억원 -3억원 0% 0%
2019 1,115억원 30억원 21억원 2% 1%

코아스 2014년 매출 965억원, 영업이익 20억원, 순이익 5억원(영업이익률2%, 순이익률0%) 
 코아스 2015년 매출 954억원, 영업이익 -76억원, 순이익 -106억원(영업이익률-8%, 순이익률-11%) 
 코아스 2016년 매출 956억원, 영업이익 -34억원, 순이익 -76억원(영업이익률-3%, 순이익률-7%) 
 코아스 2017년 매출 1119억원, 영업이익 2억원, 순이익 -9억원(영업이익률0%, 순이익률0%) 
 코아스 2018년 매출 1054억원, 영업이익 8억원, 순이익 -3억원(영업이익률0%, 순이익률0%) 
 코아스 2019년 매출 1115억원, 영업이익 30억원, 순이익 21억원(영업이익률2%, 순이익률1%) 

 

 

사업연도 코아스자산 코아스부채 코아스자본 코아스부채비율 코아스ROE 코아스시가총액(연평균)
2000 253억원 177억원 76억원 232% 18% 억원
2001 259억원 173억원 85억원 203% 10% 억원
2002 310억원 202억원 108억원 187% 23% 억원
2003 379억원 240억원 138억원 173% 21% 억원
2004 438억원 282억원 156억원 180% 17% 억원
2005 637억원 325억원 312억원 104% 16% 481억원
2006 739억원 406억원 333억원 121% 10% 653억원
2007 851억원 412억원 438억원 94% 2% 531억원
2008 885억원 467억원 418억원 111% -18% 205억원
2009 927억원 498억원 428억원 116% 2% 126억원
2010 1,055억원 600억원 454억원 132% 5% 170억원
2011 1,053억원 660억원 392억원 168% 3% 160억원
2012 1,032억원 610억원 422억원 144% 0% 278억원
2013 974억원 596억원 378억원 157% -21% 282억원
2014 1,001억원 595억원 405억원 146% 1% 398억원
2015 886억원 578억원 308억원 187% -34% 742억원
2016 771억원 524억원 246억원 213% -30% 554억원
2017 785억원 552억원 233억원 236% -3% 438억원
2018 770억원 541억원 229억원 236% -1% 493억원
2019 761억원 512억원 248억원 206% 8% 451억원


 코아스 2014년 자산 1001억원, 부채 595억원, 자본 405억원(코아스 2014년 부채비율 146%, ROE 1%) 
 코아스 2015년 자산 886억원, 부채 578억원, 자본 308억원(코아스 2015년 부채비율 187%, ROE -34%) 
 코아스 2016년 자산 771억원, 부채 524억원, 자본 246억원(코아스 2016년 부채비율 213%, ROE -30%) 
 코아스 2017년 자산 785억원, 부채 552억원, 자본 233억원(코아스 2017년 부채비율 236%, ROE -3%) 
 코아스 2018년 자산 770억원, 부채 541억원, 자본 229억원(코아스 2018년 부채비율 236%, ROE -1%) 
 코아스 2019년 자산 761억원, 부채 512억원, 자본 248억원(코아스 2019년 부채비율 206%, ROE 8%) 

반응형

댓글